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노르웨이 영화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상징왕의 노래 · 노르웨이 국가
정치정치 전반 · 노르웨이 왕실 · 노르웨이 국왕 · 노르웨이 총리 · 노르웨이 의회
역사역사 전반 · 바이킹 · 빈란드 · 레이프 에이릭손 · 북해 제국 · 칼마르 동맹 · 덴마크-노르웨이 왕국 · 스웨덴-노르웨이 연합 왕국
외교외교 전반 · 북유럽 협의회 · 덴마크-노르웨이 관계 · 스웨덴-노르웨이 관계 · 스웨덴-덴마크-노르웨이 관계 · 스웨덴-노르웨이-핀란드 관계 · 노르웨이-핀란드 관계 · 범스칸디나비아주의 · 북극이사회 · 노르웨이 여권
지리지역구분 · 북유럽 · 스칸디나비아 반도 · 피요르드 · 베어 섬 · 부베 섬 · 스발바르 제도 · 얀마옌 섬 · 노르웨이 해 · 북극 · 백야 · 극야 · 오로라 · 순록
경제경제 전반 · 노르웨이 크로네 · 오페라
문화북유럽 신화 · 루터교회(노르웨이 교회) · 노르웨이 요리 · 노르웨이 영화 · 에드바르 그리그
스포츠축구선수/노르웨이 · 노르웨이 축구 국가대표팀
교통철도 환경 · 베르겐선 · 오포트바넨 · TUI fly 노르딕 · 노르위전 에어 셔틀 · 오슬로 가르데르모엔 국제공항 · 베르겐 공항
언어북게르만어군 · 노르웨이어 · 사미어
인물로알 아문센 · 아문센 vs 스콧 · 게르하르트 아우메우에르 한센 · 프리드쇼프 난센 · 헨리크 입센
민족노르드인 · 노르웨이인 · 노르웨이계 미국인 · 노르웨이계 러시아인 · 사미족
국방노르웨이군 · 노르웨이 해군 · 노르웨이 해안경비대 · 닐스 올라브 · 북대서양 조약 기구
치안·사법노르웨이 국가경찰



기본정보 (2016년)
출처(EFP: 유럽 영화 프로모션)
인구530만 명
순수 자국생산 장편영화25편
관객 수정보없음
1인당 연간 영화 관람 횟수정보없음
자국영화 점유율23.9%
스크린 수439개


1. 개요[편집]


노르웨이영화산업에 대한 문서이다.


2. 영화 시장[편집]


2016년 기준으로 노르웨이 영화 시장은 13억 7,500만 노르웨이 크로네이다. 미국 달러로 환산하면 1억 6,000만 달러 정도 된다. 스칸디나비아 반도 영화 산업을 이끄는 스웨덴 영화 시장의 2배 이상의 크기를 보이고 있다. 링크

자국 영화의 점유율도 2016년 기준 23.9%로 미국 영화캐나다 영화를 합친 북미 영화 점유율 66.7%에 에 이어서 2위 점유율이다. 자국 영화의 점유율은 스웨덴 영화 시장의 자국 영화 비중보다 높다.

2011년 기준 영화관 스크린은 422개, 2013년 기준으로 연간 노르웨이 국민 1인당 영화 관람 횟수는 2.3회이다. 꽤 높은편이다.

한국 영화, 일본 영화, 중국 영화동아시아 영화들은 노르웨이 영화 시장에 수출, 직접 개봉하여 박스오피스를 통해 돈을 벌었다는 내용이 따로 없다. VOD 서비스나 불법 복제, 넷플릭스 정도로만 간헐적으로 유통된다. 당연히 실제로 돈을 버는 것은 아니다.

스타워즈 시리즈제국의 역습에서 벌어지는 호스 전투 장면을 촬영한 곳은 노르웨이의 산악지대에 있는 마을인 핀세라는 곳이며, 핀세 1222 호텔에서 배우와 영화 촬영 기술자들이 머물면서 호텔 부근 또는 호텔 바로 앞에서 호스 전투의 대부분을 촬영하였다. 노르웨이 산악 구조대 요원들이 반란 연합군의 병사들을 연기하였다.


3. 역사[편집]



3.1. 초기[편집]


스칸디나비아 반도영화 문물 도입이 느렸다. 스웨덴 영화 시장에서 최초의 영화관1905년 세워졌는데 노르웨이는 1907년 세워졌다. 노르웨이 최초의 영화는 1911년 개봉하였다.


3.2. 제2차 세계 대전[편집]


1940년 나치 독일노르웨이 침공으로 노르웨이는 패망하고 독일 지배에 들어간다. 당연히 독일 영화 시스템이 이식되었으며, 노르웨이 영화는 탄압받았다.


3.3. 전후 ~ 1970년대[편집]


사실 노르웨이 자체가 잘 살게 된게 최근 일이라, 전반적으로 스칸디나비아 반도 국가 영화 중에서는 존재감이 낮은 편이다. 물론 1950년대에 활동하며 칸 영화제 경쟁에 4번이나 초청받은 아른 소쿠엔 감독 같은 경우도 있었으나, 인지도는 내수에 가까웠다. [1] 잉마르 베리만이 총애했던 배우 리브 울만이 노르웨이 출신이나, 스웨덴에서 주로 활동해 잘 모르는 사람도 많다. 리브 울만은 199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감독으로 활동한다.

물론 자국 내에서는 훌륭한 걸작들이 계속 나왔고, 1960년대 말에는 젊은 감독들이 베리만에게 자극 받아 자체적으로 모더니즘 영화가 만들어지기도 했다.


3.4. 1980년대 ~ 1990년대[편집]


1980년대는 꽤 암울했던 시기로 기록된다. 비슷한 시기 다른 나라 영화계가 겪었던 할리우드와 TV의 공세가 노르웨이 영화계에도 들이닥친 것. 결국 아동 영화와 할리우드 영화 문법을 차용하는 방식으로 버텨야 했는데, 투자 펀드의 삽질(...)도 한 몫했다는 기록이 있다. 이 시절 대표작으로는 마법사The Pathfinder라는 영화가 있다. 노르웨이에게는 Nine Lives에 이어 두번째로 아카데미 외국어영화상에 오른 영화이며, 최초의 사미족 영화이기도 하다. 또한 여성 감독들이 두각을 나타내던 시기도 했다.

1990년대부터 사정이 나아져서 국가에서 본격적으로 자국 영화를 밀어주기 시작했고, 신진 감독들이 데뷔하거나 활동하기 시작한다. 인섬니아는 이 시절 노르웨이 영화 중 국제적인 성공을 거둔 영화로 꼽힌다.


3.5. 유럽연합 출범 이후[편집]


유럽연합이 출범했지만 노르웨이는 EU에 가입하지 않고 노르웨이, 아이슬란드, 스위스, 리히텐슈타인이 가맹한 EFTA에 잔류하였다. 그러나 EU의 영향력을 노르웨이가 안 받을 수는 없었고, 솅겐조약이 체결되어 EU와 EFTA 국가들 간의 이동이 자유로워지면서 노르웨이 영화도 유럽연합 국가 영화와 협업하여 발전하게 되었다.

전반적으로 노르웨이 영화는 젊은 축에 속하는 국가다. 1990년대부터 산업이 본격적으로 활성화된데다 해외 진출 역시 본격화된 편이기 때문. 국제적으로 알려진 에리크 포프, 벤트 헤머, 요아킴 트리에, 하랄드 즈왓 모두 1990년대-2000년대에 데뷔했다.


3.6. 2010년대[편집]



4. 작품[편집]




5. 영화 감독[편집]


  • 안드레 외브레달
  • 요아킴 뢰닝
  • 요아킴 트리에
  • 토미 비르콜라
  • 한스 페터 몰란트


6. 영화 배우[편집]




7. 영화관[편집]


2019년 현재 멀티플렉스화 되어 있지 않고 단관극장들 위주로 영화관들이 돌아가고 있는 나라이다. 유럽을 넘어서 전 세계에서 몇 남지 않은 비 멀티플렉스 국가이다.

  • 클링겐베르크 키노 (Klingenberg kino):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NF시네마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8.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9 16:43:50에 나무위키 노르웨이 영화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노르웨이에서는 존경받는 거장으로 꼽힌다. Nine Lives는 거의 국민 영화 취급.